2011. 3. 10. 10:11ㆍ간이역
꽃을 시샘하는 추위도 서서히 물러가고 제주도에선 유채꽃의 소식이 들려옵니다.
자연이 주관하는 계절의 변화야 당연한 것이지만,
인간사의 세간은 그러하지 못함이 있는것 같습니다.
생활의 실팍함이 서서히 피부에 와 닿고있네요.
『지난해 8월1일 동작대교에서 19세 소녀가 투신했다.
“고시원비도 밀리고 너무 힘들다”는 문자메시지를 남긴 뒤였다.
이혼한 부모와 헤어져 혼자 살던 소녀는 고교 졸업 후 식당일을 했다.
소녀가 투신한 지 한 달여 지난 9월6일엔 여의도 공원에서 50대 남성이 나무에 목을 맸다.
그 자리엔 빈 소주병 하나, 그리고 유서 넉 장이 있었다.
한동안 날품을 팔지 못한 그는 유서에 자신이 죽으면 장애아들이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거라고 적었다.
그로부터 엿새째 되던 날 창원 마창대교에서 40대 남성이 난간을 붙잡고 버티던 11살짜리 아들을 떠밀었다.
곧 그도 뛰어내렸다. 아내를 위암으로 잃고, 대리운전으로 살아온 날의 끝이었다.
다시 한 달쯤 지난 10월19일 전주의 한 주택에서 30대 주부와 두 아이가 살해됐다.
남편은 집 가까운 곳에 목을 맨 채 발견됐다. 그는 2개월 전 실직했고 월세와 아이들의 학원비가 밀려 있었다.
해가 바뀌고 나흘째 되는 날 서울 하월곡동 지하방. 60대 부부가 기초생활수급비 43만원으로
생활할 수 없다며 연탄을 피워 자살했다.
그로부터 아흐레 뒤 평택 주택가 차안에서 30대 남성이 자살했다.
쌍용차 구조조정 때 희망퇴직했던 이다. 안산·거제를 전전했지만 일거리를 찾지 못했고 아내는 떠났다.
그에겐 어린 두 아이가 남았다. 그리고 지난달 29일 안양의 한 월셋방. 가스가 끊겼고 수건이 얼어붙어 있었다.
음식을 해 먹은 흔적은 없었다. 그곳에 젊은 여성의 주검이 있었다.
“저 쌀이나 김치를 조금만 더 얻을 수 없을까요”라는 쪽지를 이웃집에 붙여 놓은 지 며칠 지난 뒤의 일이다.
다시 열흘이 흘러 강릉의 한 원룸. 대학생이 번개탄을 피워 놓고 죽었다.
방에는 즉석복권 여러 장과 학자금 대출 서류가 있었다.
"먹는 밥의 한 숟가락, 하루 중 단 몇 분, 번 돈과 노동의 일부라도
세상을 바꾸는 데 쓰지 않으면 죽음의 행진을 막을 수 없다.
내가 돈과 시간을 내지 못한다면 다른 사람도 못한다.
내가 그렇게 못할 사정이 있다면, 다른 사람도 사정이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내가 할 수 있다면, 다른 사람도 할 수 있다.
그래도 하지 않겠다면 죽음의 공포가 연탄가스처럼 스며드는 이 조용한 사회에서
당신은 죽을 각오로 살아가야 한다. 그렇게 해서 당신만이라도 살아남는다면 다행일 것이다.
(경향신문 2월 17일자, ‘[이대근칼럼]우리는 조용히 죽어가고 있다’ 중에서)"』
김광수 경제연구소 선대인 부소장의 글 일부를 따왔습니다.
뒷부분은 조세정의 실현으로 이러한 희생을 충분히 막을 수 있음을 설명하는 글이 있습니다.
이런것 말고도 고 장자연양 건도 있고, 죽은이의 편지가 사실이라면
대한민국의 1%를 자부하는 자들의 기본적인 도덕성의 문제보다,
그들에게 이끌려가는 대한민국호가, 대한민국 국민이 미래를 담보하기 어렵다는
자괴감에 뻐져듭니다......
무능한 외교의 극치를 보여주는 상하이 영사들과
'덩신밍'이란 중국판 '마티하리' 건도 있습니다.
정치적 호, 불호를 떠나 경험많은 전문 외교관을 파견해야 하는 자리에
논공행상으로 자리를 주었다는 비난이 맞아떨어진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습니다.
아침에 포털이나 약간은 진보적인 신문의 기사를 화면으로 접하면서
힘이 빠지는 소리가 들립니다.
제가 하는 일이 관리에 관련된 업무이다 보니, 경제에 관련된 소식에 민감합니다.
어차피 소시민들은 생활경제가 편해야 살기 편하니까요.
하지만 요즘, 아니 과거 부터 우리경제의 커다란 흐름은 크게 왜곡됨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런 파동이 여러가지 부작용을 낳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여기서 여러가지의 사례나 근원을 나열하지는 않겠습니다.
간단한것 하나, 금리와 환율정책이 대기업과, 건설업체를 위해 조작이 되다보니,
실제론 아마 숫자에 너무 연연한것 이라고 보여집니다. (성장률이라는 것)
물가, 자산거품 등 곳곳에 왜곡이 일어날 수 밖에 없을 겁니다.
아마 앞으로가 더 큰 문제라고 생각 됩니다.
골머리 아픈 이야기가 되었습니다.
'춘래불사춘' 이란 당나라 시인 '동백규'가 중국의 4대미인 중 한명인 '왕소군'의
처지를 읊은 시에서 나오는 한 구절이지요.
봄이 왔지만 봄이 아니다.
그런 느낌이 듭니다.
만물이 생동하고 생기가 충만하는 봄이 왔지만,
우리의 생활과 주변엔 그렇지 못한 부분이 많으니......
내 처지가 어려운 사람과 같지 않다고 해서 봄이 내것이 될 수는 없겠지요......
모두가 따사롭고 활기 넘치는 봄이 왔으면 하는 바람으로 적어봅니다......
아름다운 꽃액자에 우리의 미래를 적어보고 싶습니다...
'간이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원전, 방사능유출... 우리의 미래는? (0) | 2011.04.06 |
---|---|
일본 지진사태 (0) | 2011.03.11 |
남사스러움... (0) | 2011.03.08 |
누님가족과 함께 다녀온 아산온천과 고향 예산-7 (0) | 2011.02.14 |
누님가족과 함께 다녀온 아산온천과 고향 예산-6 (0) | 2011.02.14 |